Top 39 소화전 설치 기준 The 69 New Answer

You are looking for information, articles, knowledge about the topic nail salons open on sunday near me 소화전 설치 기준 on Google, you do not find the information you need! Here are the best content compiled and compiled by the toplist.khunganhtreotuong.vn team, along with other related topics such as: 소화전 설치 기준 옥외소화전 설치 거리, 옥내소화전 송수구, 옥내소화전 사용법, 충압펌프 설치 기준

1. 특정소방대상물의 층마다 설치하되, 해당 특정소방대상물의 각 부분으로부터 하나의 옥내소화전방수구까지의 수평거리가 25m(호스릴옥내소화전설비를 포함한다) 이하가 되도록 할 것. 다만, 복층형 구조의 공동주택의 경우에는 세대의 출입구가 설치된 층에만 설치할 수 있다.


화재안전기준 암기 옥내소화전 1
화재안전기준 암기 옥내소화전 1


옥내소화전설비의화재안전기준(NFSC102)

  • Article author: www.law.go.kr
  • Reviews from users: 30522 ⭐ Ratings
  • Top rated: 3.6 ⭐
  • Lowest rated: 1 ⭐
  • Summary of article content: Articles about 옥내소화전설비의화재안전기준(NFSC102) Updating …
  • Most searched keywords: Whether you are looking for 옥내소화전설비의화재안전기준(NFSC102) Updating
  • Table of Contents:
옥내소화전설비의화재안전기준(NFSC102)
옥내소화전설비의화재안전기준(NFSC102)

Read More

옥내소화전설비 설치규정 및 가압송수장치 : 네이버 블로그

  • Article author: m.blog.naver.com
  • Reviews from users: 41238 ⭐ Ratings
  • Top rated: 4.9 ⭐
  • Lowest rated: 1 ⭐
  • Summary of article content: Articles about 옥내소화전설비 설치규정 및 가압송수장치 : 네이버 블로그 옥내소화전설비 설치규정 및 가압송수장치 · 1)설치거리(유효반경). 특정소방대상물의 층마다 설치, 특정소방대상물의 각 부분으로부터 하나의 옥내소화전 … …
  • Most searched keywords: Whether you are looking for 옥내소화전설비 설치규정 및 가압송수장치 : 네이버 블로그 옥내소화전설비 설치규정 및 가압송수장치 · 1)설치거리(유효반경). 특정소방대상물의 층마다 설치, 특정소방대상물의 각 부분으로부터 하나의 옥내소화전 …
  • Table of Contents:

카테고리 이동

분양보호센터

이 블로그 
공동주택시설개론
 카테고리 글

카테고리

이 블로그 
공동주택시설개론
 카테고리 글

옥내소화전설비 설치규정 및 가압송수장치 : 네이버 블로그
옥내소화전설비 설치규정 및 가압송수장치 : 네이버 블로그

Read More

옥내소화전설비를 설치해야 하는 특정소방대상물 분석

  • Article author: rlqns2966.tistory.com
  • Reviews from users: 28721 ⭐ Ratings
  • Top rated: 5.0 ⭐
  • Lowest rated: 1 ⭐
  • Summary of article content: Articles about 옥내소화전설비를 설치해야 하는 특정소방대상물 분석 특정소방대상물의 연면적이 3,000㎡ 이상이면 모든 층에 옥내소화전설비를 설치한다. 이 경우에는 특정소방대상물이 몇 층짜리 건물인가를 구분하지 않고, … …
  • Most searched keywords: Whether you are looking for 옥내소화전설비를 설치해야 하는 특정소방대상물 분석 특정소방대상물의 연면적이 3,000㎡ 이상이면 모든 층에 옥내소화전설비를 설치한다. 이 경우에는 특정소방대상물이 몇 층짜리 건물인가를 구분하지 않고, … 소방시설법 시행령 [별표 5]의 규정 가. 소방시설법 시행령 별표 5 화재예방, 소방시설 설치ㆍ유지 및 안전관리에 관한 법률 시행령 [별표 5]의 규정인 특정소방대상물의 관계인이 특정소방대상물의 규모·용도 및..
  • Table of Contents:

소방시설법 시행령 [별표 5]의 규정

연면적 및 바닥면적에 따른 적용

용도와 사용 면적에 따른 적용

용도에 따른 적용

옥내소화전설비를 설치하지 않아도 되는 대상

태그

태그

공지사항

최근 포스트

검색

전체 방문자

티스토리툴바

옥내소화전설비를 설치해야 하는 특정소방대상물 분석
옥내소화전설비를 설치해야 하는 특정소방대상물 분석

Read More

소방시설의 분류 및 취급기준 (② : 옥내/외 소화전 설비)

  • Article author: yeosuesh.tistory.com
  • Reviews from users: 3352 ⭐ Ratings
  • Top rated: 4.1 ⭐
  • Lowest rated: 1 ⭐
  • Summary of article content: Articles about 소방시설의 분류 및 취급기준 (② : 옥내/외 소화전 설비) [목차] 1) 소화전설비의 종류 2) 소화전설비 설치대상 3) 소화전설비 구성 및 계통도 4) 소화전 설치 기준 5) 기타. 소화전 사용방법 및 주의사항 … …
  • Most searched keywords: Whether you are looking for 소방시설의 분류 및 취급기준 (② : 옥내/외 소화전 설비) [목차] 1) 소화전설비의 종류 2) 소화전설비 설치대상 3) 소화전설비 구성 및 계통도 4) 소화전 설치 기준 5) 기타. 소화전 사용방법 및 주의사항 … 지난 ① 편에서는 이중 소화설비의’소화기구’, 소화설비의 ‘자동소화장치’에 이어서 ② 옥내/외 소화전 설비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2021.09.13 – [안전(Safety)/위험물, 소방] – 소방시설의 분류 및 취급기준..E-mail : [email protected]
  • Table of Contents:
소방시설의 분류 및 취급기준 (② : 옥내/외 소화전 설비)
소방시설의 분류 및 취급기준 (② : 옥내/외 소화전 설비)

Read More

옥내소화전 설치 기준을 알고 싶어요,? | 궁금할 땐, 아하!

  • Article author: www.a-ha.io
  • Reviews from users: 34451 ⭐ Ratings
  • Top rated: 4.6 ⭐
  • Lowest rated: 1 ⭐
  • Summary of article content: Articles about 옥내소화전 설치 기준을 알고 싶어요,? | 궁금할 땐, 아하! 1. 특정소방대상물의 층마다 설치하되, 해당 특정소방대상물의 각 부분으로부터 하나의 옥내소화전방수구까지의 수평거리가 25m(호스릴옥내소화전설비를 … …
  • Most searched keywords: Whether you are looking for 옥내소화전 설치 기준을 알고 싶어요,? | 궁금할 땐, 아하! 1. 특정소방대상물의 층마다 설치하되, 해당 특정소방대상물의 각 부분으로부터 하나의 옥내소화전방수구까지의 수평거리가 25m(호스릴옥내소화전설비를 … 옥내소화전 설치 기준을 알고 싶어요,?, 법률 – 신축 건물로서 옥내 소화전 설치가 잘못된것 갇아서 기준을 알고 싶습니다.현재 엘레베이터 승강 공간과 복도 사이에 자동방화문이 설치되어있고 옥내소화전이 자동방화문 안쪽 복도에 설치되어 있습니다.이 경우 적법하게 설치된 것인지요?제 생각에는 자동방화문 바깥 부분이 엘레베이터 공간에 옥내소화전이 설치되어야 할 것 같습니다.만약에 위치가 잘못되었다면 어떻게 해야 하는지요.전문가님의 답변을 기다립니다.아하, 법률, 법률
  • Table of Contents:
옥내소화전 설치  기준을 알고 싶어요,? | 궁금할 땐, 아하!
옥내소화전 설치 기준을 알고 싶어요,? | 궁금할 땐, 아하!

Read More

옥내소화전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102) 2탄

  • Article author: kadelria.tistory.com
  • Reviews from users: 4491 ⭐ Ratings
  • Top rated: 3.6 ⭐
  • Lowest rated: 1 ⭐
  • Summary of article content: Articles about 옥내소화전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102) 2탄 1. 특정소방대상물의특정 소방대상물의 층마다 설치하되, 해당 특정 소방대상물의 각 부분으로부터 하나의 옥내 소화 전방 수구까지의 수평거리가 25m(호 … …
  • Most searched keywords: Whether you are looking for 옥내소화전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102) 2탄 1. 특정소방대상물의특정 소방대상물의 층마다 설치하되, 해당 특정 소방대상물의 각 부분으로부터 하나의 옥내 소화 전방 수구까지의 수평거리가 25m(호 …  안녕하세요 파이리입니다.  오늘은 옥내소화전설비 1탄에 이어 2탄입니다. 옥내소화전 간단히 구성을 보면 옥내소화전 함이 있고 거기에 배관이 수조까지 이어져있는데 그 중간에 펌프와 압력 챔버가 있어야 자..
  • Table of Contents:
See also  Top 6 조조전 모드 다운 The 153 New Answer

태그

관련글

댓글0

최근글

인기글

티스토리툴바

옥내소화전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102) 2탄
옥내소화전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102) 2탄

Read More

소화전 설치 기준

  • Article author: kfs.kfpa.or.kr
  • Reviews from users: 4032 ⭐ Ratings
  • Top rated: 4.7 ⭐
  • Lowest rated: 1 ⭐
  • Summary of article content: Articles about 소화전 설치 기준 KFS-1011, 2018년판의 주요 변경사항으로는, 고층건물에 대한 1차급수원 유효수량, 비상. 전원, 급수배관 기준이 신설되었고, 펌프 설치장소 및 흡입배관을 세부적으로 … …
  • Most searched keywords: Whether you are looking for 소화전 설치 기준 KFS-1011, 2018년판의 주요 변경사항으로는, 고층건물에 대한 1차급수원 유효수량, 비상. 전원, 급수배관 기준이 신설되었고, 펌프 설치장소 및 흡입배관을 세부적으로 …
  • Table of Contents:
소화전 설치 기준
소화전 설치 기준

Read More

52G :: 옥외 소화전 설치 기준, 대상

  • Article author: 52gram.tistory.com
  • Reviews from users: 13482 ⭐ Ratings
  • Top rated: 4.5 ⭐
  • Lowest rated: 1 ⭐
  • Summary of article content: Articles about 52G :: 옥외 소화전 설치 기준, 대상 옥외소화전 설치 기준 · 지상 1층 및 2층의 바닥면적 합계가 9,000㎡ 이상 · 보물 또는 국보로 지정된 목조 건축물 · 기준치 750배 이상의 특수 가연물을 … …
  • Most searched keywords: Whether you are looking for 52G :: 옥외 소화전 설치 기준, 대상 옥외소화전 설치 기준 · 지상 1층 및 2층의 바닥면적 합계가 9,000㎡ 이상 · 보물 또는 국보로 지정된 목조 건축물 · 기준치 750배 이상의 특수 가연물을 … 화재는 큰 위험인 동시에 생각보다 흔하게 발생합니다. 빠르게 진화한다면 피해를 크게 줄일 수 있는데 이를 위해 법적으로 소방시설의 설치가 규제되고 있습니다. 오늘은 그 중에서도 옥외소화전 설치 기준과 설..가볍고 쉽게 여러가지 소식을 설명합니다. 🙂
  • Table of Contents:

옥외소화전이란

옥외소화전 설치 기준

옥외 소화전 수원 계산

옥외 소화전 설치 거리

옥외 소화전함 설치 기준

관련 글 더보기

티스토리툴바

52G :: 옥외 소화전 설치 기준, 대상
52G :: 옥외 소화전 설치 기준, 대상

Read More

52G :: 옥외 소화전 설치 기준, 대상

  • Article author: www.doochpump.com
  • Reviews from users: 46097 ⭐ Ratings
  • Top rated: 3.1 ⭐
  • Lowest rated: 1 ⭐
  • Summary of article content: Articles about 52G :: 옥외 소화전 설치 기준, 대상 옥내소화전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102) 일부개정(안). [소방청고시 제2021-18호]. 제4조 제1항. 옥내소화전설비의 수원은 그 저수량이 옥내소화전의 설치개수가 … …
  • Most searched keywords: Whether you are looking for 52G :: 옥외 소화전 설치 기준, 대상 옥내소화전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102) 일부개정(안). [소방청고시 제2021-18호]. 제4조 제1항. 옥내소화전설비의 수원은 그 저수량이 옥내소화전의 설치개수가 … 화재는 큰 위험인 동시에 생각보다 흔하게 발생합니다. 빠르게 진화한다면 피해를 크게 줄일 수 있는데 이를 위해 법적으로 소방시설의 설치가 규제되고 있습니다. 오늘은 그 중에서도 옥외소화전 설치 기준과 설..가볍고 쉽게 여러가지 소식을 설명합니다. 🙂
  • Table of Contents:

옥외소화전이란

옥외소화전 설치 기준

옥외 소화전 수원 계산

옥외 소화전 설치 거리

옥외 소화전함 설치 기준

관련 글 더보기

티스토리툴바

52G :: 옥외 소화전 설치 기준, 대상
52G :: 옥외 소화전 설치 기준, 대상

Read More


See more articles in the same category here: https://toplist.khunganhtreotuong.vn/blog.

옥내소화전설비 설치규정 및 가압송수장치

옥내소화전설비 설치규정 및 가압송수장치

옥내소화전설비는 건물에 화재가 발생하는 경우 자체 인원에 의한 초기소화를

목적으로 설치하는 소화설비로 건축물에 설치하는 고정식 물소화설비입니다.

1.옥내소화전설비 설치규정

1)설치거리(유효반경)

특정소방대상물의 층마다 설치, 특정소방대상물의 각 부분으로부터 하나의 옥내소화전방수구까지의

수평거리가 25m(호스릴옥내소화설비를 포함한다) 이하가 되도록 할 것

2)설치높이

방수구 높이는 바닥으로부터 1.5m 이하의 위치에 설치, 송수구 높이는 지면으로부터 높이가 0.5m 이상

1m 이하의 위치에 설치

3)소화전함

옥내소화전함 표면에 ‘소화전’이라고 표시, 옥내소화전함에 호스 및 노즐을 접속하여 화재시 즉시 사용

할 수 있도록 할 것

2.방수구 표준규정

1)방수압력: 노즐 끝에서 0.17MPa~0.7MPa 이하

2)표준방수량: 130리터/min 이상

3)노즐 구경: 13mm

4)호스 구경: 40mm(호스릴옥내소화전설비인 경우: 25mm)

3.수원의 저수량

1)화재시 20분 동안 방사할 수 있는 양을 기준으로 한다.

2)옥내소화전설비 또는 호스릴옥내소화전설비의 수원은 그 저수량이 옥내소화전의 설치개수가 가장 많은

층의 설치개수(5개 이상 설치시 5개로 산정)에 2.6m3를 곱한 양 이상이 되도록 하여야 한다.

수원의 저수량(m3) = 130리터/min X 20분 X 동시사용개수(N) = 2.6m3 X N ​

4.가압송수장치

1)용어정리

– 고가수조: 구조물 또는 지형지물 등에 설치하여 자연낙하의 압력으로 급수하는 수조를 말한다.

– 진공계: 대기압 이하의 압력을 측정하는 계측기를 말한다.

– 연성계: 대기압 이상의 압력과 대기압 이하의 압력을 측정할 수 있는 계측기를 말한다.

– 체절운전: 펌프의 성능시험을 목적으로 펌프 토츨 측의 개폐밸브를 닫은 상태에서 펌프를 운전하는

것을 말한다.

– 충압펌프: 배관 내 압력손실에 따른 주펌프의 빈번한 기동을 방지하기 위하여 충압역할을 하는 펌프를

말한다.

– 기동용 수압 개폐장치(압력챔버): 펌프의 기동 및 정지 등으로 인하여 배관 내의 압력변동이 있는 경우

완충역할을 할 수 있도록 압력챔버 내에 공기를 체류시킴으로써 배관 내의 압력변동을 흡수하여 펌프의

작은 기동을 방지하고 또한 수격작용도 방지한다.

2)펌프

– 펌프는 전용으로 한다.

– 펌프의 토출 측에는 압력계를 체크밸브 이전에 펌프 토출 측 플랜지에서 가까운 곳에 설치하고, 흡입

측에는 연성계 또는 진공계를 설치한다.

– 가압송수장치에는 정격부하운전시 펌프의 성능을 시험하기 위한 배관을 설치한다.

– 가압송수장치에는 체절운전시 수온의 상승을 방지하기 위한 순환배관을 설치한다.

– 기동용 수압 개폐장치(압력챔버)를 사용할 경우 그 용적은 100리터 이상의 것으로 한다.

– 펌프의 성능은 체절운전기 정격토출압력의 140%를 초과하지 아니하고, 정격토출량의 150%로 운전

시 정격토출압역의 65% 이상이 되어야 한다.

3)배관

– 배관 내 사용압력이 1.2MPa 미만일 경우에는 배관용 탄소강관, 이음매 없는 구리 및 구리합금관

(단, 습식의 배관에 한함), 배관용 스테인리스 강관, 덕타일 주철관을 사용하고, 배관 내 사용압력이

1.2MPa 이상일 경우에는 압력배관용 탄소강관, 배관용 아크용접 탄소강 강관을 배관과 배관이음쇠로

사용하여야 한다.

– 급수배관은 전용으로 하여야 하고, 펌프의 토출 측 주배관의 구경은 유속이 4m/s 이하가 될 수 있는

크기 이상으로 하여야 한다.

– 옥내소화전방수구와 연결되는 가지배관의 구경운 40mm(호스릴옥내소화전설비의 경우: 25mm)

이상으로 하여야 한다. –

– 주배관 중 수직배관의 구경은 50mm(호스릴옥내소화전설비의 경우: 32mm)이상으로 하여야 한다.

– 연결송수관설비의 배관과 겸용할 경우의 주배관은 구경 100mm 이상, 방수구로 연결되는 배관의

구경은 65mm 이상의 것으로 하여야 한다.

옥내소화전설비를 설치해야 하는 특정소방대상물 분석

소방시설법 시행령 [ 별표 5] 의 규정

가. 소방시설법 시행령 별표 5

화재예방, 소방시설 설치ㆍ유지 및 안전관리에 관한 법률 시행령 [별표 5]의 규정인 특정소방대상물의 관계인이 특정소방대상물의 규모·용도 및 수용인원 등을 고려하여 갖추어야 하는 소방시설의 종류를 참조한다. 옥내소화전설비를 설치하여야 하는 특정소방대상물은 다음과 같다.

나. 옥내소화전설비를 설치하여야 하는 특정소방대상물

옥내소화전설비 설치 대상

연면적 및 바닥면적에 따른 적용

연면적 및 바닥면적에 따른 적용

가. 연면적 3,000㎡ 이상

특정소방대상물의 연면적이 3,000㎡ 이상이면 모든 층에 옥내소화전설비를 설치한다. 이 경우에는 특정소방대상물이 몇 층짜리 건물인가를 구분하지 않고, 오로지 건물의 연면적이 3,000㎡ 이상인지의 여부만 판단한다. 다만, 지하가 중 터널은 연면적과 상관없이 이 규정을 적용하지 않는다. 터널의 경우에는 2)에서 길이와 예상교통량 등으로 옥내소화전설비 설치대상 여부를 별도로 규정하고 있기 때문이다.

나. 4층 이상이고, 600㎡ 이상에 해당하는 층이 있는 것

특정소방대상물의 층수가 4층 이상에 해당하고, 각각의 충 중에서 바닥면적이 600㎡ 이상인 층이 있는지를 판단해야 한다. 건축물의 전체 연면적이 3,000㎡가 되지 않더라도, 4층 이상의 건물이면서 하나의 층의 바닥면적이 600㎡가 넘으면 해당 특정소방대상물의 모든 층에 옥내소화전설비를 설치하라는 의미이다.

용도와 사용 면적에 따른 적용

용도와 사용면적에 따른 적용

가. 특정소방대상물의 용도 구분

건축물의 연면적이 3,000㎡가 되지 않더라도 또는 하나의 층의 바닥면적이 600㎡가 되지 않더라도 특정소방대상물의 용도가 특정한 용도에 해당되는 경우 살펴보아야 할 내용이다. 특정소방대상물의 용도가 근린생활시설, 판매시설, 운수시설, 의료시설, 노유자시설, 업무시설, 숙박시설, 위락시설, 공장, 창고시설, 항공기 및 자동차 관련 시설, 교정 및 군사시설 중 국방·군사시설, 방송통신시설, 발전시설, 장례시설 또는 복합건축물인 경우에는 옥내소화전설비 설치 대상여부를 확인해야 한다.

나. 면적 또는 층의 구분

위 용도에 해당하는 특정소방대상물로서 ①연면적이 1천5백㎡ 이상이면 모든 층에 옥내소화전설비를 설치해야 한다. 또한, 위 용도에 해당하는 특정소방대상물로서 ②지하층 또는 무창층의 바닥면적이 300㎡ 이상인 것이 있으면 모든 층에 옥내소화전 설비를 설치해야 한다. 위 용도에 해당하는 특정소방대상물로서 ③층수가 4층 이상인 층 중 바닥면적이 300㎡ 이상인 층이 있으면 모든 층에 옥내소화전설비를 설치한다.

옥내소화전 설치 대상

용도에 따른 적용

가. 터널

용도에 따른 적용

지하가란 지하의 인공구조물 안에 설치되어 있는 상점, 사무실, 그 밖에 이와 비슷한 시설이 연속하여 지하도에 면하여 설치된 것과 그 지하도를 합한 것을 말한다. 지하가의 종류로는 지하상가와 터널이 있다. 이 중 옥내소화전을 설치해야 하는 대상은 터널로서 길이가 1,000m 이상이거나, 예상교통량 및 경사도 등 터널의 특성을 고려하여 총리령으로 정하는 터널이다.

나. 차고 또는 주차장

옥상에 설치된 차고 또는 주차장

차고 또는 주차장이 건축물의 옥상에 설치되어 있는 경우에 해당한다. 옥상에 설치된 차고 또는 주차장으로서 차고 또는 주차의 용도로 사용되는 면적이 200㎡ 이상이면 해당 용도로 사용되는 곳에 옥내소화전설비를 설치한다. 옥상은 외기에 노출된 공간이어서 겨울철 동파의 우려가 있으므로 옥내소화전설비는 난방이 가능한 곳에 설치하거나 배관 및 방수구에 보온조치를 하여야 할 것이다.

다. 특수가연물 저장하는 공장 및 창고

특수가연물을 저장 취급하는 공장 또는 창고시설

특수가연물을 저장·취급하는 공장 또는 창고라면 옥내소화전설비 설지대상 여부를 확인하여야 한다. 공장 또는 창고의 연면적이 1,500㎡가 되지 않거나 지하층·무창층 또는 층수가 4층 이상인 층 중 바닥면적이 300㎡ 이상인 층이 존재하지 않더라도 특수가연물을 저장·취급하고 있다면 이 조항에 해당되는지를 살펴보아야 한다. 공장 또는 창고는 면적과 상관없이 특수가연물을 750배 이상 저장·취급하고 있다면 옥내소화전살비를 설치하여야 한다는 의미이다.

옥내소화전설비를 설치하지 않아도 되는 대상

옥내소화전설비를 설치하지 않아도 되는 대상

옥내소화전설비는 화재를 처음 발견한 사람이나 건물의 관계자가 화재를 진압하기 위해 화재 초기에 사용하는 소화설비이다. 그러므로 화재 초기에 직접 옥내소화전설비를 사용할 수 있는 관계자가 상주하지 않는 곳에 대해서는 그 존재 의미가 없으므로 지하구 및 무인변전소에 설치를 제외해주고 있다. 또한 옥내소화전으로는 감당이 불가능한 가스시설에도 설치를 제외해주고 있다.

——————————————————————————————————————-

끝까지 읽어 주셔서 감사 드립니다.

글 내용 중에 제가 잘못 생각하고 있는 부분이 있거나,

더 좋은 의견이 있으시면, 댓글로 저를 일깨워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소방시설의 분류 및 취급기준 (② : 옥내

반응형

지난 ① 편에서는 이중 소화설비의’소화기구’, 소화설비의 ‘자동소화장치’에 이어서 ② 옥내/외 소화전 설비 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2021.09.13 – [안전(Safety)/위험물, 소방] – 소방시설의 분류 및 취급기준 (① : 소화기구 및 자동소화장치)

[목차]

1) 소화전설비의 종류

2) 소화전설비 설치대상

3) 소화전설비 구성 및 계통도

4) 소화전 설치 기준

5) 기타. 소화전 사용방법 및 주의사항

1) 소화전설비의 종류

① 옥내소화전 : 건축물에 화재가 발생하는 경우에 화재 발생 초기에 소방대상물의 관계인(소유자, 점유자, 관리자)에 의해 신속하게 화재를 진압할 수 있도록 건축물 내 설치하는 고정식, 수동식(수계) 소화설비를 말합니다.

② 옥외소화전 : 소방대상물의 1,2층과 옥외 설비 및 기타 유사한 시설에서 발생하는 화재의 진압과 인접 건축물로의 연소확대를 방지하는 목적으로 방호 대상물의 옥외에 설치하는 수동식 고정 소화설비를 말합니다.

③ 호스릴 소화전 : 호스 방식이 릴 형태로 되어 있는 소화전설비로 일반적인 소화전에 비해 소화성능은 떨어지나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는 소화전 설비입니다.

* 주요 용어 정의

충압펌프 : 배관 내 압력손실에 따른 주 펌프의 빈번한 기동을 방지하기 위해 충압 역할을 하는 펌프

정격 토출량 : 정격 토출압력에서의 펌프의 토출량

정격 토출압력 : 정격 토출량에서의 펌프의 토출 측 압력

체절 운전 : 펌프의 성능시험을 목적으로 펌프 토출 측의 개폐밸브를 닫은 상태에서 펌프를 운전하는 것

기동용 수압 개폐장치 : 소화설비의 배관 내 압력변동을 검지하여 자동적으로 펌프를 기동 및 정지시키는 것으로서 압력 챔버 또는 기동용 압력스위치 등을 말합니다.

2) 소화전설비 설치대상

① 옥내소화전

ㄱ. 연면적 3,000㎡ 이상 (지하가 중 터널 제외) 지하층·무창층 (축사는 제외한다) 또는 층수가 4층 이상인 것 중 바닥면적이 600㎡ 이 상인 층이 있는 것은 모든 층

ㄴ. 지하가 중 터널로서 다음에 해당하는 터널 가) 길이가 1천 미터 이상인 터널 나) 예상교통량, 경사도 등 터널의 특성을 고려하여 총리령으로 정하는 터널

ㄷ. 1)에 해당하지 않는 근린생활시설, 판매시설, 운수시설, 의료시설, 노유 자시설, 업무시설, 숙박시설, 위락시설, 공장, 창고시설, 항공기 및 자동 차 관련 시설, 교정 및 군사시설 중 국방·군사시설, 방송통신시설, 발전 시설, 장례시설 또는 복합건축물로서 연면적 1천5백㎡ 이상이거나 지하층·무창층 또는 층수가 4층 이상인 층 중 바닥면적이 300㎡ 이상인 층 이 있는 것은 모든 층

ㄹ. 건축물의 옥상에 설치된 차고 또는 주차장으로서 차고 또는 주차의 용도로 사용되는 부분의 면적이 200㎡ 이상인 것

ㅁ. 1) 및 3)에 해당하지 않는 공장 또는 창고시설로서 「소방 기본법 시행령」 별표 2에서 정하는 수량의 750배 이상의 특수가 연물을 저장·취급하는 것

② 옥외소화전

ㄱ. 지상 1층 및 2층의 바닥면적의 합계가 9,000㎡ 이상인 것

ㄴ. 문화재 보호법에 따른 보물 또는 국보로 지정된 목조건축물

ㄷ. 특수가 연물을 지정수량 750배 이상으로 저장/취급하는 것

◈ 위험물 시설에 대한 설치기준은 위험물 안전관리법 시행규칙 별표 17의 기준에 의합니다.

3) 소화전설비 구성 및 계통도

① 수원 : 유효수량 + 옥상 수원

② 가압 송수 장치

ㄱ. 펌프를 이용하는 가압 수송 장치

ㄴ. 고가수조를 이용한 가압 송수 장치

ㄷ. 압력 수조를 이용한 가압 송수 장치

ㄹ. 가압 수조를 이용한 가압 송수 장치

③ 기동용 수압 개폐장치

ㄱ. 압력 챔버

ㄴ. 기동용 압력스위치

④ 배관

ㄱ. 수직 배관

ㄴ. 방수구 연결 배관

⑤ 송수구 (*소화전함)

4) 소화전 설치 기준

① 수원 :

ㄱ. 유효수량

ㄴ. 옥상수조 : 유효 수원으로부터 정상적으로 공급받지 못할 경우 대비 설치합니다 (유효수량의 1/3)

ㄷ. 수원의 산정 : 유효수량 + 옥상수조

– 다른 설비(소화설비 외)와 수조를 겸용으로 하는 경우 다른 설비의 흡수구 아래부터의 수량

– 다른 소화설비와 겸용하는 경우 합한 양(단, 2 이상의 방호구획으로 나뉠 경우 방호구획 별 수원중 최대량으로 할 수 있음)

ㄹ. 수조 설치 기준

– 점검이 편리한 곳에 설치

– 동결방지 조치를 하거나 동결의 우려가 없는 곳에 설치

– 수조의 외측에 수위계 설치(다만, 구조상 불가피한 맨홀 등을 통해 물의 양을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해야 함)

– 수조의 상단이 바닥보다 높은 때에는 수조 외측에 고정식 사다리를 설치

– 수조가 실내에 설치된 경우 조명설비 설치

– 수조의 밑 부분에는 청소용 배수 밸브 또는 배수관 설치

② 가압 송수 장치

ㄱ. 펌프를 이용한 가압 송수 장치의 설치기준

ㄴ. 고가수조의 자연 낙차를 이용한 가압 송수 장치

– 자연 낙차 수두는 다음식에 따라 산출한 수치 이상이 되도록 할 것

– 수위계, 배수관, 급수관, 오버플로관 및 맨홀 설치

ㄷ. 압력 수조를 이용한 가압 송수 장치

– 압력 수조의 압력은 다음 식에 따라 산출한 수치 이상이 되도록 할 것

– 수위계, 배수관, 급수관, 급 기관, 맨홀, 압력계, 안전장치 및 압력저하 방지를 위한 자동식 공기압축기를 설치할 것

ㄹ. 가압 수조를 이용한 가압 송수 장치(옥외소화전을 제외)

– 가압 수조의 압력은 옥내소화전 방수량 및 방수압이(130 LPM / 0.17 ~ 0.7 Mpa) 20분 이상 유지되도록 할 것

– 가압 수조 및 가압원은 방화구획된 장소에 설치할 것

③ 배관

ㄱ. 펌프를 이용하는 가압 송수 장치의 설치기준

기타. 소화전 사용방법 및 주의사항

1. 옥내소화전 사용방법

2. 옥외소화전 사용방법

So you have finished reading the 소화전 설치 기준 topic article, if you find this article useful, please share it. Thank you very much. See more: 옥외소화전 설치 거리, 옥내소화전 송수구, 옥내소화전 사용법, 충압펌프 설치 기준

See also  Top 48 밤 편지 악보 6168 People Liked This Answer

Leave a Comment